기후위기시계
×
News
정치
경제
사회
국제
IT/과학
생활/문화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지역뉴스
호남취재본부
대구&경북
PR Newswire
Special Section
D;Con
HeMil(밀리터리)
Global Insight
●
실시간 뉴스
기획기사
포토
신문구독
뉴스레터
홍길용의 화식열전
[홍길용의 화식열전] 공매도 법 위반 과태료, 75억, 8억 차이 왜?
2018년 11월28일 증권선물위원회에 골드만삭스증권의 법규위반 제재 안건이 상정된다. 금융감독원이 상정한 과태료는 공매도 제한 위반 10억원, 공매도 순보유잔고 보고의무 위반 1680만원이다. 이날 의사록을 보면 골드만삭스 측은 “직원의 착오와 실수가 원인이며 고의가 아니어서 10억원을 초과한 과태료가 부과된다면...
2022.07.29 10:17
[홍길용의 화식열전] 가상자산 자금 편법 해외송금…무법이 불법 부른다
가상자산거래소를 거친 천문학적 자금이 편법으로 해외로 송금된 정황이 드러나면서 관련 규제가 급해졌다. 이번 사건에서 자금거래의 핵심 주체는 파악이 어려울 전망이다. 은행과 가상자산거래소 탓으로만 돌리기도 모호하다. 가상자산거래소가 불법 자금거래의 온상이 될 가능성이 확인됐다. 새로운 법령을 만들어질 때...
2022.07.28 14:29
[홍길용의 화식열전] 빗썸, 과연 미국 괴짜에 팔릴까?
가상자산거래소 빗썸 매각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관련주 주가가 크게 움직이고 있다. 주주사인 비덴트는 이 사실을 공시까지 했다. 공시 내용 가운데 곱씹어 볼 부분이 많다. 비덴트는 1개월 이내 또는 추후에 구체적인 결정 내용을 재공시하겠다고도 했다. 협상이 상당부분 진행됐음을 시사한 셈이다. 빗썸홀딩스 주주이자...
2022.07.26 11:29
[홍길용의 화식열전] ‘똘똘한 한채’에서 ‘돈 버는 여러 채’로…세제개편안 재테크 가이드
절세는 자산관리의 중요한 한 부분이다. 자산이 많을수록 세금을 아껴서 얻게 될 기대이익 규모는 커진다. 정부가 최근 공개한 세제개편안은 부동산과 주식·채권 등 자산관리 전략에 중대한 전환점을 예고했다. 금리 상승세가 주춤해지면 집을 여러 채 사서 임대수익과 가격 상승을 동시에 노릴 만하다. 주식과 채권 투자...
2022.07.22 09:56
[홍길용의 화식열전] 이젠 ‘핵우산’ 보다 ‘달러 우산’…‘전쟁장관’ 된 美 재무장관
미국은 우방에 ‘핵우산’을 제공하며 ‘핵 확산’을 막아왔다. 핵무기 보다 더 강력한 미국의 힘은 달러에서 나온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미국은 경제 제재로 맞섰다. 힘의 원천은 국제결제 통화인 달러다. 전쟁으로 물가가 급등하자 미국은 달러 가치를 높여 인플레를 다른 나라로 수출하고 있다. 다른 나라들...
2022.07.20 14:52
[홍길용의 화식열전] 금융규제 혁신 시동건 정부…금융법체계 ‘근본적 개혁’을
연도가 바뀌었다고 세상이 달라지지는 않는다. 21세기가 20년도 더 지났지만 이전의 질서들이 여전하다. 숫자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의 일상을 바꾸는 변화다. 21세기 가장 큰 변화는 역시 인터넷이다. 이용자들이 손쉽게 정보를 제공하고 취득할 수 있게 됐다.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로 사용자들 간 소통과 참여도 일상...
2022.07.19 11:57
[홍길용의 화식열전] 거꾸로 가는 국민연금…뻔한 ‘고갈’ 더 빨라지나
국민연금 적립 기금이 사상 첫 역성장 위기에 몰렸다. 주식 비중을 잔뜩 늘려 놓았는데 증시 하락으로 투자 손실이 커졌다. 그럼에도 주식 비중을 더 높일 방침이다. 다른 나라보다 값이 더 떨어진 국내 주식을 더 사겠다는 것은 아니다. 원화가치 하락에도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해외 주식을 적극 살 계획을 세웠다. 물가...
2022.07.18 11:16
[홍길용의 화식열전] 그때를 아십니까…고금리의 추억
20세기를 살았던 이들은 아직 고금리의 추억이 생생하다. 은행에 예금하면 연 10%가 넘는 이자를 주던 시대다. 그럼에도 시골에서는 목돈을 만들 때 예금보다 계(契)가 더 흔할 때이기도 했다. 높은 이자는 우리 경제가 가파른 성장을 했기에 가능했지만 경제난으로 살인적 초고금리를 겪었던 때도 있었다. 1996년 우리나...
2022.07.12 14:25
[홍길용의 화식열전] 검사 출신 금감원장 이복현의 ‘솜씨’
검객·의사·요리사. 모두 칼을 쓰는 직업들이다. 적·환자·재료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처방을 내놓아야 한다. 진단이 틀리면 처방이 옳을 수 없다. 검사·감독기관도 그렇다. 공인회계사 자격을 갖고, 굵직한 경제 사건들에 ‘법의 칼’을 휘둘렀던 검사 출신 금융감독원장의 행보에 눈이 가는 이유다. 취임사...
2022.07.01 10:50
[홍길용의 화식열전] ‘엔저’ 일본 쇼핑…초저금리도 활용하라
최근 홍콩 등 중화권 자산가들의 일본 투자가 화제다. 유독 일본이 전세계적인 긴축 행렬에 동참하지 않으면서 엔화 가치가 급락해서다. 국내에도 최근 엔화 관련 투자가 인기다. 주목할 부분은 일본 부동산이다. 여전히 대출이자는 싸고 관련 규제는 우리나라보다 느슨하다. 가격 전망도 나쁘지 않다. 지난 9일 서울 외환...
2022.06.30 10:45
1
2
3
4
5
6
7
8
9
10
많이 본 정보
연재 기사
“나 같아도 죽여버린다”…도넘은 신당역 피해자 2차 가해[촉!]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신당역 살해 사건’이 젠더 갈등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정치권까지 나서 젠더 갈등에 불을 붙이고 있다. 이 같은 젠더 갈등이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도 넘은 2차 가해까지 이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24일 헤럴드경제 취재에 따르면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 피해자에 대해 근거 없는 추정을 하며, 2차 피해 글이 올라오고 있다. 한 누리꾼은 “가해자는 불법촬영물을 무리 없이 찍을 수 있을 정도로 피해자와 사적으로 가까웠던 것으로 보인다”며 “어떤 면에서는 오히려 치정 관련 범죄라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그는 “특정 성별의 단체들이 이번 사건을 스토킹범죄로 일률적으로 규정하고 있다”며 “스토킹처벌법 강화를 외치는 모습은 충분한 공감과 신뢰가 가지 않는다...
촉!
“빌라 전세는 쳐다보지도 않아요”…절규하는 빌라 주인[부동산360]
[헤럴드경제=고은결 기자] 서울 빌라 전세 거래량이 쪼그라들고 있는 가운데,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역대 최대로 내려가며 빌라 주인들의 고민이 커질 전망이다. 공시가격 급락으로 보증금 미반환 우려가 커져 세입자 구하기는 더 어려워지고, 다음 세입자를 구하려면 전세금을 더 낮춰야 하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전체 주택 시장의 전셋값 하락폭이 커져 아파트 전세에도 밀리는 가운데, 입지가 더 좁아질 수 있다는 우려다. 26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서울시 내 다세대·연립(빌라) 전세 거래는 7804건이 등록됐다. 지난 1년간 전반적으로 내림세를 보이며 올 들어 2월에는 이날까지 5087건으로 집계됐다. 이달 들어서는 3178건이 등록됐는데, 거래 등록 신고 기한이 거래 후 30일 이내인 점을 고...
부동산360
“아이폰 충전기, 삼성이랑 통일해!” 한국서도 ‘충전단자’ 제한한다? [IT선빵!]
이는 지난해 통과한 EU의 USB-C 충전규격 통일 법안과 유사한 형태다. EU는 2024년 말부터 EU지역에서 판매되는 모든 모바일 기기에 대해 충전단자를 USB-C로 통일하도록 했다. USB-C 단자가 없을 시 해당 모바일 기기는 판매가 금지된다. 당초 EU의 USB-C 충전규격 통일 법안이 발의 됐을 때 업계에선 사실상 애플 겨냥한 법이 아니냐는 얘기가 나왔다. 대다수 제조사의 모바일 기기가 USB-C 단자로 전환 중인 반면 애플은 2012년부터 스마트폰에 자체 라이트닝 규격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소비자들은 박찬대 의원의 이번 법안 발의에 전반적으로 환영하는 분위기다. USB-C타입 충전 단자가 일반화되며 향후 아이폰 교체시 추가 충전 케이블을 구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다만 일...
IT선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