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방미 사전 협의…중국 현안도 테이블에
우주동맹 발전 모색…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 기반
![]() |
박진 외교부 장관이 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하고 있다.[연합] |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박진 외교부 장관이 나흘간 미국 뉴욕과 워싱턴 방문 일정을 위해 출국길에 올랐다. 한미 동맹 70주년을 맞는 올해 첫 고위급 인사의 방미다. 3일 열리는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장관과의 한미 외교장관 회담에서는 양국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 강화 방안과 대북 정책 공조 등에 대해 논의할 전망이다.
박 장관은 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미 동맹 70주년에 첫 외교장관 회담을 갖고 동맹의 발전 방향과 한반도 문제, 글로벌 이슈에 대해서 협의를 할 예정”이라며 “무엇보다도 70년 동맹을 기념하는 한미 행사들을 준비하고, 우리 경제를 살리고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한미 관계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고 오겠다”고 말했다.
박 장관의 이번 미국 방문의 핵심은 ‘한미동맹 다변화’다. 한미 동맹 70주년의 표어인 ‘미래로 함께 도약하는 동맹’을 위해 안보뿐만 아니라 경제, 과학기술 동맹으로의 발전을 모색한다.
한미 외교장관 회담에서는 북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미국의 확장억제 실행력 강화 등 한미 공조 방안을 논의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방한한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을 만나 “한국 국민이 우려를 불식시키고 실효적이고 강력한 한미 확장억제 체계가 도출되도록 협의를 진행해달라”고 당부했다. 최근 윤 대통령의 ‘자체 핵무장’ 발언 이후 미국의 확장억제에 대한 여론이 높아지고 있는 점에 미국은 주목하고 있다. 이번 외교장관 회담에서도 한미 공조 방안이 최우선 의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상반기로 예상되는 윤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위한 사전 논의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한미 외교장관 회담 직후 블링컨 장관이 중국을 방문하는 만큼 한미·한중 현안에 대해서도 논의가 오갈 가능성이 높다. 한미일 안보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추진하는 가운데 한일 양국이 최대 현안인 강제징용 배상 판결 해법안으로 두고 진통을 겪고 있다. 다만 한미 외교장관 회담에서 한일 현안에 대한 논의가 있을지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강제징용건은 한일 간 풀어야 할 사항”이라고 선을 그었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자체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미국의 지지를 확보하고 양국 간 연계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논의한다. 인태 전략은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의 연계를 통해 중국과 러시아 등 권위주의 세력의 영향력 확장에 대응하는 성격이 강하다. 최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한국의 군사적 지원을 요청하고 있어 이에 대한 논의도 주목된다.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31대의 M1 에이브럼스 탱크를 지원하겠다고 밝혔었다.
양국 경제 현안인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한 논의도 의제로 꼽힌다. 오는 3월 미 재무부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세액공제 가이던스(하위규정)를 발표하는 가운데 한국산 전기차 차별 문제 해소 방안에 대한 진전된 방안이 언급될지 주목된다.
박 장관은 한미 동맹을 우주 동맹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일정을 마련했다. 외교 장관이 미 국가항공우주청(NASA)의 고위관계자를 만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인 과학기술벤처 기업인과 만나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미 동맹이 과학기술, 경제, 안보, 우주 등 여러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는 취지에서 준비한 일정”이라고 설명했다.
박 장관은 워싱턴을 방문하기 전 뉴욕을 먼저 찾아 안토니우 구테레쉬 유엔 사무총장과의 면담을 통해 한반도 문제와 글로벌 현안에 대해 논의한다.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이사국 초청 오찬 간담회와 유엔 주재 외교단 및 사무국 고위인사 초청 리셉션을 통해 2024~25년 임기의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 기반을 다지고 북한의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안보리의 단결을 당부한다. 유엔 안보리는 미국·영국·프랑스·중국·러시아 등 5개 상임이사국과 10개 비상임이사국으로 구성된다. 올해 6월 비상임이사국 선출을 위한 선거가 예정돼있다.